기대효과는 분석 결과를 통한 기여와 그 활용도에 대해서 작성하는 파트이다.
구체적으로 분석 결과가 문제 해결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지를 밝히고, 이를 통한 학문적 사회적 활용 방안 등을 작성한다.
한국에서 중년기 남성은 은퇴로 인한 큰 변화를 겪는다.
이러한 심리적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동시에 이를 잘 극복하고 이겨 나갈 수 있는 개인 역량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개인적으로는 스스로 은퇴에 대한 준비를 하게 함으로써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은퇴에 대한 불안한 심리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둘째,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에 대비하는 행동을 촉진하고 그 방법적 원리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가정에서는 배우자와 함께 은퇴준비를 철저히 하게 함으로써 어려움을 같이 극복할 수 있게 하여
사회적인 문제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 중년기 남성과 그 가족들을 위한 관계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중년기 남성이 은퇴 후 가족 안에서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