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계획 수립

Home > 논문계획
논문계획 수립

연구 모형 : 자신의 연구주제를 도식화한 파트이다. 전공에 따라 연구모형을 생략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학과나 학술지를 보고 연구모형을 넣을지 판단해야 한다. 다만 연구 모형을 제시해주면 다른 사람이 연구계획서를 볼 때 주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연구모형과 함께 연구문제를 같이 작성하기도 한다. 연구문제란 연구에서 활용하는 주요 변수 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의문문으로 작성한 것을 말한다. 연구문제는 아래의 <예시1>과 같은 형태로 제시된다. 물론 주요 변수 간의 관계에 대해 언급하는 것 외에도 ’∼의 실태는 어떠한가?’와 같은 형태로 작성할 수도 있다. 한 가지 팁을 드린다면, 연구목적에 제시한 내용을 의문형을 바꾸면 쉽게 작성할 수 있다.
참고로 <예시1>의 연구문제가 나오게 된 배경이 되는 이 연구의 목적은 은퇴를 앞두고 있는 중년기 남성들을 대상으로 은퇴에 잘 적응하여 더 나은 삶으로 전환하고 적응을 돕기 위해 은퇴준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예시1>과 같이 설정하였다.

예시 4
  • 연구문제 1. 은퇴인식, 무조건적 자기수용, 건강한 부부관계, 은퇴준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2.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3.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 연구문제 4.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에 의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연구가설은 주요 변수의 관계를 통계적 검증이 가능한 구체적인 형태의 문장으로 작성한 것을 말한다. 연구가설과 연구문제가 헛갈릴 수도 있다. 이 둘의 차이점은 의문문인지 아닌지의 차이이다. 즉 연구문제가 변수 a가 b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의 형태라면, 연구가설은 ‘변수 a가 변수 b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는 ‘변수 a가 변수 b에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라는 형태가 된다.

예시 5
  • 가설 1.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가설 2.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의 조절효과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가설 3.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에 의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Copyright (c) 지문콕.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