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계획 수립

Home > 논문계획
논문계획 수립

이 연구의 주제에 대해서 왜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지, 어떻게 관심을 가지게 되었는지를 작성하는 부분이다. 그럼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을 적어야 할까? 이 부분은 사실 연구주제 선정 방법에서 제시한 내용과 맞닿아 있다.

연구주제의 선정방법은 네 가지로 설명이 가능하다. 1. 관심 있는 이슈, 2. 자신의 과거경험이나 현재 일어나는 일, 3. 책이나 인터넷 등을 통해 일어난 사실 4. 선행연구를 통하여 한계점을 파악하여 연구 배경에 작성하면 된다.

그렇다면 “중년기 남성의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 : 건강한 부부관계에 의한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 (2019)” 라는 제목의 박사논문을 중심으로 연구계획서 작성에 대해 설명해보기로 한다.

예시 1
최근 중년기 베이비부머세대(1955~1963년생)들이 정년을 맞이하면서 우리 사회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그 변화 중의 하나는, 대량은퇴와 경제적 침체로 인한 조기은퇴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이런 일이 빈번해지면서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유광자, 2015; 최은영, 2015). 이에 따라 상담현장에서도 중년기 남성의 은퇴와 관련한 개인갈등 및 가족문제 등의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년기 남성의 은퇴문제는 가장이 많은 책임을 감당해야 하는 한국사회에서 단순히 한 개인의 문제로 끝나지 않게 된다. 그래서 중년기 남성이 은퇴로 인해 겪는 심리적 부담감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한경혜, 2003). 이에 반해 은퇴와 관련한 전문적인 상담 서비스는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김봉환, 2014). 이런 측면에서 상담에 필요한 은퇴 관련 연구는 앞으로 더욱 필요성이 제기된다.

우선 이 논문의 논문주제에 대해 살펴보면 그 연구 배경으로 중년기 남성에 대한 이슈를 소개했다. 이어서 베이비부머세대의 조기은퇴의 문제점, 은퇴와 관련한 개인갈등 및 가족문제, 은퇴로 인해 겪는 심리적 부담감, 이런 측면에서 필요한 은퇴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Copyright (c) 지문콕.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