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 연구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학술적인 필요성에 대해 작성하는 부분이다.
논문 연구자 들 중에는 이 부분을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다.
쉽게 작성하는 방법이 있는데, 바로 분석 방법에 따라 작성하는 것이다.
기대수명이 길어지고, 경제적 침체로 인한 조기은퇴의 문제가 빈번해지는 환경 속에서
은퇴준비 수준은 매우 미흡한 것으로 여러 연구들은 보고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남성이 은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은퇴 이후의 삶을 체계적으로 준비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고
다음 사항에 대하여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한 내용은 첫째, 은퇴인식, 무조건적 자기수용, 건강한 부부관계, 은퇴준비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넷째, 은퇴인식과 은퇴준비 간의 관계에서 건강한 부부관계에 의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보통 최종 연구모형이 인과관계를 검증해야 하는 회귀분석인 경우에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라고 작성하면 된다.
즉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성별을 비교하는 분석이 있다면
‘성별에 따른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의 특성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규명한다’는 식으로 작성하면 된다.
만약 주요 변수에 대한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이 있다면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실태를 파악한다.’라고 작성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자신이 어떠한 분석을 할 것인지 판단한 후 작성하면 된다.